부정맥은 돌연사 발생 원인의 90%가 될 정도로 위험한 심장질환입니다. 따라서 심장 부정맥 발생 시 초기증상을 재빠르게 인지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장 부정맥 원인, 초기증상, 자가진단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심장 부정맥이란?
안정적인 상황에서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1분에 60~80회를 뛰는 것입니다. 하지만 보통 상황에서 심장이 1분에 100회 이상 뛰거나 60회 미만으로 뛰는 경우 심장 부정맥이 있다고 합니다. 심장이 뛰는 횟수가 부정맥의 주요 척도가 되지만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경우에도 부정맥이라고 진단합니다.
부정맥은 증상에 따라 빈맥, 서맥, 조기박동, 심방세동 이렇게 네 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빈맥
: 안정적인 상황에서 심장이 1분에 100회 이상 뛰는 경우 - 서맥
: 안정적인 상황에서 심장이 60회 미만으로 뛰는 경우 - 조기박동
: 가장 흔한 유형의 부정맥으로 심장이 한 박자 빠르게 뛰는 경우 - 심방세동
: 심장이 무작위로 수축하여 불규칙한 박동을 일으키는 경우
심장 부정맥 원인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심장이 뛰고 있었기 때문에 ‘심장은 그냥 뛰는 것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장은 그냥 뛰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인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뛰고 있는 것입니다.
부정맥은 심장으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심장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의 주기가 빠르면 ‘빈맥’이 되고 느리면 ‘서맥’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전기신호가 불규칙하게 전달되면 ‘조기박동’과 ‘심방세동’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장의 전기적 신호에 이상을 만드는 원인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선천적으로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 심근경색 등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 유전적 요인에 의한 부정맥이 있는 경우(부모가 부정맥이 있는 경우)
- 담배, 커피, 술 등 혈류를 빠르게 하는 것을 섭취한 경우
- 스트레스에 의한 경우
- 수면 부족에 의한 경우
심장 부정맥 초기증상
심장 부정맥은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초기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빈맥성 부정맥의 경우에는 심장박동이 갑자기 빨라지다가 갑자기 멈추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서맥성 부정맥의 경우에는 심장 박동이 갑자기 느려지기 때문에 심한 어지러움을 동반하며 심하게 느려지면 실신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조기박동은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부정맥의 종류로 가슴의 통증,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을 유발합니다. 또한 고혈압이 없더라도 술을 마시거나, 커피를 마시는 것에 의해서도 조기박동 부정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심장세동에 의한 부정맥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길 수 있는 부정맥 유형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발작성인 경우가 많고 가슴 두근거림, 답답함, 숨이 차는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심장 부정맥 원인 자가진단 방법
건강검진 시 검진센터에서는 24시간 홀터검사를 이용하여 심장 부정맥을 정확히 진단합니다. 하지만 검진센터에 가기 전에 가볍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안정된 상태에서 손목의 맥박을 짚습니다. 그다음 1분 동안 맥박이 뛰는 횟수를 확인합니다. 또한 맥박이 규칙적으로 뛰는지 불규칙하게 뛰는지 같이 확인합니다.
이렇게 확인을 했을 때 1분 동안 손목 맥박이 뛰는 횟수가 60회 미만이거나 100회 이상인 경우, 또 불규칙하게 뛰는 경우에는 부정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